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Page 2. 사진 공부 카메라란?
    이론여행 2019. 5. 1. 20:35

    카메라의 기원과 간단한 원리

    '카메라'라는 어원은 '카메라 옵스큐라(camera obscura)'라는 라틴어의 줄임말이다.

    'camera=방', 'obscura=어두운' 을 가리키는 카메라 옵스큐라는 옆의 그림과 같이, 어두운 방의 아주 작은 구멍을 통해 바깥의 풍경이 상하좌우가 반대로 벽에 맺히는 원리를 가지고 있다. 어렸을 때 배웠던 '바늘구멍 사진기'의 원리를 생각하면 이해하기 쉬울 것이다.

    이를 간단히 도식화 한 아래의 그림을 살펴보자.

    구멍이 작아지면 작아질수록 어두운 방에는 작은 입자들이 상을 이루고, 구멍이 커지면 커질수록 큰 입자들이 상을 이룬다. (여기서 맺혀진 입자를 사진용어로 착란원이라 부른다.)

     

    구멍이 큰 것과 작은 것 중, 어느 것이 더 상을 세밀하게 맺힐 수 있을까?

    초등학교 때 스케치북에 잡지를 찢어 붙였던 모자이크 그림을 연상해 보자. 당연히 작은 구멍으로 상이 맺힌 장면이 풍부한 디테일을 표현할 수 있다. 하지만, 맺히는 시간은 오래 걸릴 것이다. 오히려 큰 구멍으로 맺힌 상은 디테일에서는 떨어지겠지만 시간은 짧게 걸림을 알 수 있다.

    바로 이 점을 주목해 볼 필요가 있다. 즉, 구멍의 크기는 조리개를 나타내며 시간은 셔터 스피드를 나타낸다. 아웃포커싱이란 말을 들어 보았을 것이다. 아주 작은 크기의 착란원은 우리 눈으로 구별이 가지만 어느 정도 커지면 그냥 흐려지게 보인다. 이를 사람들은 아웃 포커스 라고 부른다. 이를 추정해 볼 때, 착란원이 커지면, 즉 조리개를 크게 열면 아웃 포커싱 효과가 나며, 조리개를 작게 닫으면 팬 포커스 효과를 볼 수 있다. 다시, 조리개를 열면 셔터 스피드가 빨라지지만, 조리개를 닫으면 셔터 스피드는 느려진다. 이렇듯 카메라 옵스큐라의 원리만 잘 살펴본다면 카메라를 조절하는 가장 큰 축인 조리개, 셔터 스피드를 쉽게 이해할 수 있다.

    구명의 크기 디테일 시간
    큰 구멍 흐리다 짧게
    작은 구멍 선명하다 오래

    카메라의 각부 명치

     

    댓글

Designed by Tistory.